태그

2011년 2월 10일 목요일

Adobe Acrobat Print Production

ACE 자격시험을 공부하면서 print production에 대한 설명이 영어로 되어있어 정확한 이해가 힘들었는데 여기 한글로 자세히 설명된 아크로뱃 print production을 찾아 포스팅합니다.



트랩 설정(Trap Presets) 기능

트랩 설정 기능은 Adobe In-RIP Trapping에 기초한 어도비 포스트스크립트 기술을 응용하여 새로운 트랩을 만들거나 트랩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기능은 PDF 문서에 있는 상호 교차하거나 인접한 색상 영역 간에 발생하는 트러블을 제거하는데, 현재 열려 있는 문서들의 색상 영역에 트랩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게 한다. 트랩 기본 설정값이나 사용자가 정의하여 만든 트랩은 PDF 문서에 적용되어 분판 출력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 설정값이 별도로 PDF 문서를 수정하여 저장하지는 않는다.


그림 3. 트랩 설정을 위한 기본 윈도우




그림 4. 새로운 트랩 설정을 위한 윈도우



분판 미리보기(Output Preview) 기능
분판 미리보기 기능은 Adobe Acrobat 6에서 처음 선보인 것으로, 현재 열려 있는 PDF 문서의 컬러 색상 정보를 미리 확인, 교정하는 기능을 제공했다. 그런데 이 기능은 Adobe Acrobat 7에서 기존의 기본 기능들 외에 여러 가지 옵션들을 갖추게 되었다.
우선 눈에 띄는 옵션으로는 표준 색상 ICC 프로필에 따라 최종 출력 결과를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 있는 기능과 특정 컬러 영역들(RGB, Device CMYK, Spot Color 등)만 선택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이다. 또한 오버프린트(Overprint)에 의한 색상 변화를 미리 예측할 수 있도록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Preview 팝업 메뉴에서 Separation을 선택하면 현재 문서의 기본 CMYK 색상 정보 및 별색 정보를 미리볼 수 있으며 특정 색상만 미리보기하거나 교정보는 것도 가능하다. Preview 팝업 메뉴에서 Color Warnings를 선택하면 색상 영역의 오버프린트 상황을 미리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면 PDF 문서에 포함된 색상 정보를 사전에 확인하여 출력 결과를 예측하고 정교한 출력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별색(Spot Color)이 포함되어 있는 문서의 경우 별색을 별도판으로 출력할지 아니면 CMYK 색상으로 프로세싱할지 사전에 결정할 수 있게 한다. 기존에 포스트스크립트 파일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파일 RIPping 이후에 색상 정보를 확인, 별색이나 특정 색상 정보의 출력 방식을 결정했는데, 이에 비해 Adobe Acrobat 7의 미리보기 기능을 이용하면 PDF 파일은 RIPping 이전에 사전 교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편의와 융통성을 부여하고 정확한 출력 결과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로 도움을 준다.


그림 5. 출력 미리보기 윈도우




그림 6. PDF 파일의 특정 색상 영역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가면
현재 선택된 영역의 색상값이 퍼센트(%)로 표시된다



사전 교정(Preflight) 기능
사전 교정 기능은 Adobe Acrobat 6에서 처음 선보인 후 PDF 파일의 출력 교정 기능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전에는 Enfocus사의 Pitstop과 같은 Adobe Acrobat용 플러그인을 사용해야만 가능했던 기능이었기 때문에, 사전 교정 기능은 특히 PDF 출력 업무를 담당하는 실무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누렸다. Adobe Acrobat 7에서는 사전 교정 기능에 보다 편리한 기능들을 새롭게 추가했으며,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대폭 개선되었다. 그래서 Adobe Acrobat 6의 사전 교정 기능을 이용해 본 사용자라면 Adobe Acrobat 7에서는 전혀 새로운 기능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도 바뀌고 기능도 많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그림 7]과 같이 사전 교정 기능의 초기 윈도우에서는 미리 구성한 프로필들이 나타난다. 작업자는 이 프로필들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작업에 적합한 프로필을 직접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림 7. 사전 교정의 초기 윈도우에는 미리 구성한 프로필들이 나타난다




그림 8. 초기 윈도우에서 Edit 버튼을 클릭하여 기존에 구성된 프로필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필을 만들 수 있다
새로운 교정 프로필을 만들려면 초기 윈도우에서 ‘Edit’ 버튼을 클릭하면 되는데, 그럴 경우 기존에 구성되어 있던 프로필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필을 만들 수 있는 윈도우가 나타난다. 이 윈도우에서 PDF 파일에 적용할 프로필을 사용자가 직접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다. Adobe Acrobat 7의 새로운 기능인 교정 결과의 리포트 기능은 매우 직관적이다. 이전 버전에서는 리포트 결과 파일을 PDF 파일로 별도 제작해 저장하는 정도였지만 Adobe Acrobat 7에서는 [그림 9]와 같이 교정 결과를 해당 문서의 오브젝트에 주석으로 추가해 저장함으로써 좀더 빠르게 출력 관련 문제가 예상되는 부분을 사전 점검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림 9. Adobe Acrobat 7의 새로운 기능인 교정 결과의 리포트 기능.
교정 결과를 해당 문서의 오브젝트에 주석으로 추가해 저장하기 때문에 좀더 빠르게 출력 관련 문제가
예상되는 부분을 사전 점검할 수 있다 
 
 
컬러 변환(Convert Colors) 기능
Adobe Acrobat 7에는 PDF 파일의 컬러 영역을 변환시켜 주는 기능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PDF 파일의 컬러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이전에는 Quite A Box Of Tricks이나 Pitstop 등의 플러그인을 이용해야 했지만, Adobe Acrobat 7에서는 기본 기능을 이용해 가능하게 된 것이다.
Adobe Acrobat 7의 컬러 변환 기능은 Device CMYK, Device RGB, Device Gray 그리고 별색을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우선 변환할 도큐멘트 컬러를 선택하고 Action에서 Convert 명령을 선택한다. Destination Space에서 적용할 컬러 프로필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색상 영역이 변환된다.
변환된 결과의 미리보기가 불가능하며 컬러가 도큐멘트에 그대로 적용되어 원본 상태로 복귀할 수 없으므로 컬러 변환 기능을 사용하려면 원본의 복사본을 만들어 이용하도록 한다.
컬러 변환 기능은 페이지 단위로 적용되기 때문에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나 텍스트에만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PDF 도큐멘트 내의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나 텍스트의 컬러를 수정, 편집하려면 Enfocus사의 Pitstop을 사용해야만 한다.
Adobe Acrobat 7의 컬러 변환 기능은 MS Word 등 Windows 계열의 응용프로그램에서 제작한 RGB 계열의 PDF 문서를 컬러 출력하기 위하여 CMYK 모드로 전환하는 용도로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그림 10. Device CMYK, Device RGB, Device Gray 그리고 별색을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변환할 도큐멘트 컬러를 선택하고 Action에서 Convert 명령을 선택한 후 Destination Space에서 적용할 컬러 프로필을 선택하고 OK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한 색상 영역이 변환된다



잉크 매니저(Ink Manager) 기능
잉크 매니저 기능은 Adobe InDesign에는 포함되어 있었으나 Adobe Acrobat에서는 7 버전에서야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 기능은 현재 열려 있는 PDF 파일의 색상 정보에 따른 잉크 농도값을 사전에 보여 주며, 이러한 값들을 사용자가 조정하여 최종 출력 전에 또는 컬러 변환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보기할 수 있도록 한다.
주의할 점은 여기서 조정한 컬러 잉크값은 실제 PDF 파일에 저장되지는 않으며 단순히 컬러 잉크값을 변경하여 최종 출력 상태를 미리보여 주는 것이라는 점이다. 예를 들어 작업 윈도우에서 Convert All Spots to Process 옵션을 체크하면 PDF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 별색을 모두 CMYK로 프로세싱하여 미리볼 수 있게 해 준다.


그림 11. 현재 열려 있는 PDF 파일의 색상 정보에 따른 잉크 농도값을 사전에 보여 주며, 이러한 값들을 사용자가 조정하여 최종 출력 전에 또는 컬러 변환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미리보기할 수 있도록 한다



프린터 마크 추가(Add Printer Marks) 기능
프린터 마크 추가 기능은 PDF 파일의 페이지들을 필름 출력할 때 차후 필요한 재단선이나 컬러바 등의 프린터 마크를 삽입, 추가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림 12. 필름 출력시 필요한 재단선이나 컬러바 등의 프린터 마크를 삽입한다



Fix Hairlines 기능
Fix Hairlines 기능은 특정 크기 이하의 텍스트나 오브젝트의 외곽선이 출력시 트러블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 그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선 두께를 보정하는 기능이다.


그림 13. 특정 크기 이하의 텍스트나 오브젝트의 외곽선이 출력시 트러블을 일으키지 않도록
선 두께를 보정한다



JDF Job Definitions 기능
Adobe Acrobat 7은 PDF 문서에 포함되어 있는 JDF(Job Definition Format)를 편집하거나 추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PDF 기반의 출력 웍플로어를 사용하는 경우 PDF 문서 내에 포함된 출력 및 인쇄 관련 작업 지시를 위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그림 14. PDF 문서 내에 포함된 출력 및 인쇄 관련 작업 지시를 위한 정보를 가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PDF 최적화(PDF Optimizer) 기능
Adobe Acrobat 7의 PDF 최적화 기능은 이전 6 버전과 유사하다. 단 PDF 문서에 사용한 투명 효과를 출력시 보정해 주는 부분 등은 추가되었다.


그림 15. PDF 문서에 사용한 투명 효과를 출력시 보정하는 기능 등이 추가되었다



Transparency Flattening 기능
Transparency Flattening 기능은 Adobe Acrobat 7 Professional 버전에서 새롭게 추가되었다. Adobe Acrobat 6 버전에서는 단순히 투명 오브젝트의 인쇄 결과를 미리보여 줬지만, Adobe Acrobat 7 Professional에서 이 기능을 적용하면 투명 오브젝트를 평탄화시켜 줄 수 있다. 그림 16과 같이 Flattener Preview 윈도우에서는 투명 오브젝트 영역을 붉은색으로 표시해서 보여 주며 나머지 영역은 그레이스케일 상태로 보여 준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PDF 문서를 출력하기 전에 투명 옵션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림 16. 투명 오브젝트를 평탄화시켜 주는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Flattener Preview 윈도우에서는 투명 오브젝트 영역을 붉은색으로 표시해서 보여 주며 나머지 영역은 그레이스케일 상태로 보여 준다.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PDF 문서를 출력하기 전에 투명 옵션을 수정할 수 있다 
 
 
source: http://www.dtpinside.com/Dtpinfo/view_template.asp?pid=SPEC&htmnum=1&htmcode=SPEC066&stat=28|21||10
 

댓글 없음:

댓글 쓰기